씨드키퍼는 씨앗을 매개로 인문학적 가드닝을 제안하는 브랜드이자 스튜디오입니다. 우리는 씨앗의 미묘함을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독특한 관점으로 해석하며, 그 과정에서 발견한 가치와 메세지들을 다양한 형태의 제품과 워크숍, 전시 등의 프로젝트로 구현합니다. 

자연과 더불어 살고 가까이 지내는 방법에 대해 생각하는 한편, 새생명을 깨우는 즐거움으로 시작하는 씨앗생활을 통해 스스로를 돌보는 정서, 그리고 자기효능감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내가 아닌 다른 대상을 기르며 관계 맺는 삶의 방식을 추구하며, 다른 관점으로 경계 밖에 서있는 사람들을 환영합니다. 익숙하지 않은 영역에 대한 관심과 도전을 위해 여러 분야 창작자들과 협업하며, 우리 시대에 필요한 주제에 대해 탐구합니다.
씨앗이라는 아주 작은 단위의 생명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그제야 비로소 깨달을 수 있는 삶의 기쁨이 있습니다. 씨앗의 생애를 우리의 삶 위에 덧대어 보면 거대하고 장황해 보였던 인생도 조그마한 손바닥 안에 들어온 것처럼 명징해집니다. 


씨앗에서 새로운 생명이 탄생하는 순간을 목격할 때 우리는 다시 한 번 삶이 환기되는 기분을 느끼고, 사람의 적은 도움으로도 끊임없이 생성과 소멸이라는 균형 세계에 제 몸을 맞춰가는 자연의 위대함을 경험하게 됩니다. 땅속에서 어둡고 긴 인내의 시간을 보낸 후 ‘이제서야, 비로소’ 세상 밖으로 나올 제때임을 아는 씨앗처럼 우리 역시 각자의 시간에 도착했음을 알아낼 수 있는 방법은 오직 스스로의 결심뿐입니다.
씨드키퍼 소개
Who We Are

씨드키퍼는 씨앗을 매개로 인문학적 가드닝을 제안합니다. 씨앗의 미묘함을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독특한 관점으로 해석하며, 그 과정에서 발견한 가치와 메세지들을 다양한 형태의 제품과 워크숍, 전시 등의 프로젝트로 구현합니다. 


자연과 더불어 살고 가까이 지내는 방법에 대해 생각하는 한편, 새생명을 깨우는 즐거움으로 시작하는 씨앗생활을 통해 스스로를 돌보는 정서, 그리고 자기효능감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내가 아닌 다른 대상을 기르며 관계 맺는 삶의 방식을 추구하며, 다른 관점으로 경계 밖에 서있는 사람들을 환영합니다. 익숙하지 않은 영역에 대한 관심과 도전을 위해 여러 분야 창작자들과 협업하며, 우리 시대에 필요한 주제에 대해 탐구합니다.


 ➊  자연을 가까이 하는 생활
 좁은 베란다, 작은 책상 위에서 시작하는 자기만의 정원 돌보기
•  제품
•  프로그램
씨앗 팔레트  |  큐레이션 씨앗키트
팜팜 가드닝 워크숍  |  팟 타워 워크숍

 ➋  자연으로부터 배우는 가치관
 돌봄, 관계, 순환의 메세지를 통해 스스로 회복하고 성장하기 
•  제품
•  프로그램
•  콘텐츠
운세 씨앗키트  |  팟 메이트 씨앗키트
씨앗 드로잉 워크숍  |  씨앗 페어링 워크숍
가장자리 라운드 테이블  |  레터 투 레터  |  씨앗 페어링

 ➌  자연을 즐기는 새로운 방법
 누구에게나 주어진 자연의 혜택을 새로운 관점으로 즐기기
•  제품
•  프로그램
씨앗 페이퍼
씨앗 페이퍼 워크숍


✱ 각 프로젝트명을 클릭하시면 자세한 내용을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
제품 디자인 product design

식물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재료와 도구들을 함께 접할 수 있는 제품을 만듭니다. 낯선 경험이 또 다른 시도로 연결될 수 있도록 시작부터 마지막까지 단계별 과정을 세심하게 고려합니다. 씨드키퍼의 모든 제품은 식물경험이 없어도 누구나 어렵지 않게 시도할 수 있으며, 실내에서도 손쉽게 씨앗을 발아시키고 새싹을 기를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제안합니다. 식물을 돌보는 순간들이 즐거운 기억으로 남을 수 있도록 기능성과 심미성, 시의성을 고민합니다. 


프로그램 디자인 program design

가드닝과 마인드풀니스를 주제로 한 워크숍을 기획하고 운영합니다. 씨앗과 식물의 본성을 알고 돌보는 방법, 직접 기른 식물을 활용해 끼니를 챙기는 즐거움, 나와 주변 관계를 살피는 돌봄의 대화, 식물의 언어를 빌려 내 삶을 톺아보는 기록을 함께합니다. 지속적으로 내 삶의 방향성에 대해 고민하고 더불어 사는 삶에 대한 메시지를 전하고자 합니다. 


기획 및 운영 planning & management

참여형 전시 또는 팝업스토어와 마켓 등 공간 중심의 콘텐츠를 기획합니다. 다채로운 텍스트와 이미지를 변주하여 짜임새있는 구성으로 브랜드의 고유한 이야기를 스토리텔링하고, 조명되지 않았던 매력을 발굴해 특별한 시각으로 전달하고자 노력합니다. 공간에 방문한 사람들은 의도된 인터랙션 장치를 통해 서로 연결되며, 이는 또 다른 사유와 대화의 장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계절이 가득 담긴 경험에 몰입해보세요.


봄과 여름

만물이 새롭게 돋아나고 무성해지는 계절에는 직접 씨앗(식물)을 심고 가꾸는 가드닝 활동에 집중합니다. 씨앗마다 태어나는 때와 적합한 환경이 모두 다르듯, 각자의 식물생활을 시작하는 계기와 더 깊이 몰입하는 동기를 찾을 수 있도록 돕습니다. 흙을 만지고, 씨앗을 심고, 식물을 기르는 일련의 움직임을 통해 식물이 전하는 위로를 느끼며 자신의 리듬을 찾아갑니다.


가을과 겨울

무르익고 저무는 계절에는 나의 내면을 들여다보며 타인과의 관계를 돌보는 마인드풀니스 활동에 집중합니다. 씨앗에게 기대할 수 있는 잠재력, 뭐든 될 수 있다는 가능성, 응축된 삶의 에너지에 공감하며 자연을 닮은 우리의 삶을 되짚어봅니다. '자기 이해'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프로젝트를 통해 고요한 자연의 세계에 몰입합니다.



seedkeeper studio


씨드키퍼 스튜디오는 씨드키퍼 팀의 다양한 작업과 실험을 위한 공간입니다. 비즈니스 미팅, 인터뷰 등 만남이 필요하신 분들은 방문 전 이메일로 문의해주세요. 

봄과 가을에 비정기적으로 운영되는 '오픈 스튜디오' 기간에는 누구나 자유롭게 방문하여 제품을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식물을 키우면서 궁금했던 점을 질문하거나, 작고 아름다운 씨앗들을 천천히 둘러보는 시간을 가져보세요. '오픈 스튜디오' 일정은 인스타그램을 통해 공지됩니다.

서울시 서대문구 연희로
15길 91-17, 101
(02) 6949-1334

씨드키퍼 인스타그램을 팔로우하고 더 흥미로운 소식들을 만나보세요. 씨드키퍼 팀과 함께하고 싶거나 궁금한 점이 있다면 이메일을 보내주세요.
iam@seedkeeper.kr
Q  지긋함은 모두에게 필요한 일 같아요. 
A  저희끼리 가드닝이 인간성 기르기 좋은 활동이라고 말하곤 해요. 식물과 가까이 지내다 보면 자기 뜻대로 할 수 없으니까 가만히 지켜보게 되거든요. 말을 해주지도 않으니 어떤 현상을 관찰하면서 끊임없이 사유해야 하고요. 좋은 훈련인 거 같아요.

어라운드 매거진과의 인터뷰 중 (2023.4)



Q  한 식물의 생애 주기를 온전히 경험하면 어떤 걸 느낄 수 있나요? 
A  식물의 삶이 인간과 닮아 있다고 느껴요. 씨앗마다 고유한 성질도, 좋아하는 환경도, 살아가는 방법도 달라요. 환경이 자기에게 잘 안맞게 변했을 때 거기에 적응하는 방식, 해충에 대처하는 방식이 다른 거죠. 사람마다 성격과 대응 방식이 제각각인 것처럼요. 그렇게 빗대 보면 우리 삶에서는 어렵고 복잡한 문제들이 심플해지는 순간이 있어요. 예를 들어, 밖에서 자라던 식물을 실내로 들여오면 환경 변화 때문에 잎의 크기나 형태가 바뀌어요. 그런 걸 보면 내 모습을 유연하게 바꾸는 게 잘 적응하는 방법일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곤 해요. 식물은 제 생리대로 살아가는 건데, 가까이에서 지켜보면 의미 부여를 하게 되는 것 같아요. 인간이기 때문에요.
파이퍼 매거진과의 인터뷰 중 (2023.6)
Q  씨드키퍼를 찾는 고객들이 어떤 경험을 하길 바라나요? 
A  씨드키퍼는 씨앗부터 키우기 쉬운 초본식물을 다룹니다. 여러해살이도 있지만 대부분 한두해살이기 때문에 식물의 한살이를 오롯이 지켜보며 함께할 수 있어요. 씨앗이 발아해 뿌리를 내리고 떡잎을 올리는 경이로운 순간, 어느새 쑥쑥 자라 열매나 꽃을 맺는 결실의 순간, 푸릇푸릇했던 잎과 꽃들이 시들고 다음 세대를 위한 씨앗을 맺으며 다시 새롭게 시작하는 순간까지. 식물을 키우며 내가 아닌 다른 대상을 돌보는 과정의 기쁨을 다양한 관점으로 경험해보시기를 바라요. 식물을 돌보는 과정 중에 분명 작은 용기와 응원, 쉼과 회복의 순간들이 있을 거예요.
— 고아웃 매거진과의 인터뷰 중 (2025.7)
인간은 손바닥 만한 정원이라도 가져야 한다.
우리가 무엇을 딛고 있는지 알기 위해서는 작은 화단 하나라도 가꾸며 살아야 한다.
— 카렐 차페크 Karel Capek
seedkeeper studio

서울 서대문구 연희로15 91-17, 101

월-금 14:00 - 19:00
02-6949-1334


문의 및 제안 iam@seedkeeper.kr

인스타그램 @seed_keeper


© seedkeeper. All rights reserved.

씨드키퍼 seedkeeper | 대표 송다혜, 문혜성 | 사업자등록번호 510-27-91908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2021-서울마포-0952 | 이용약관 terms개인정보처리방침 privacy


씨드키퍼 seedkeeper | 대표 송다혜, 문혜성 | 사업자등록번호 510-27-91908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2021-서울마포-0952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seedkeepe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