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배 과정]새싹을 위한 실패 없는 물주기

조회수 7030


피트펠릿이나 흙의 상태를 먼저 확인해보세요.
물주기는 정해진 횟수보다 피트펠릿이나 흙의 상태를 기준으로 판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공간과 계절에 따라 온도와 습도가 다르기 때문에 단순히 ‘하루에 몇 번, 며칠마다’ 물을 주기보다는 현재 흙이 얼마나 마른 상태인지를 직접 확인해야 해요. 눈으로 보기만 해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반드시 손으로 흙을 만져보세요. 식물마다 선호하는 수분 상태는 조금씩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흙이 살짝 촉촉하면서도 고슬고슬한 상태가 이상적입니다. 흙이 떼알 구조(입단 구조)로 알갱이처럼 잘 뭉쳐 있고 통기성과 배수성이 좋을수록, 뿌리 손상 없이 건강하게 자랄 수 있어요. 혹시 흙 상태를 직접 체크하는 것이 어렵다면, 흙에 꽂아 사용하는 수분 측정계(식물 수분계)를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흙은 겉이 마른 듯 보여도 속은 젖어 있는 경우가 있고, 반대로 겉이 젖은듯 색이 짙어도 실제로는 속이 말라 있을 수 있습니다.

손으로 만졌을 때 수분 상태를 판단하는 기준
  • 피트펠릿이 약간 말랑하면서 물기가 느껴지는 촉촉한 느낌이면 적절한 수분 상태입니다.
  • 압축 배양토는 겉흙에서 가볍게 수분감이 느껴질 때가 적정한 상태입니다.
  • 피트펠릿이 딱딱하고 가볍게 느껴지거나 생분해 화분이 바삭하게 마르고 가벼우면 건조 상태로 물을 주어야 합니다.
  • 반대로 피트펠릿이나 압축 배양토가 지나치게 무르고 질척거릴 정도로 축축하다면 과습 상태이니 물주기를 멈추고 흙이 마를 때까지 햇빛이 충분하게 들어오고, 바람이 잘 통하는 곳에서 관리합니다.



씨앗 파종 후
피트펠릿: 아래에서 물을 흡수시키는 방식으로 물주기
피트펠릿은 흡수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아래에서 천천히 물을 끌어올리는 저면관수 방식으로 물을 주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하면 미세한 씨앗이 물에 쓸려 내려가는 상황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1. 유리 플레이트나 얕은 접시에 1-2cm 정도의 물을 담습니다.
  2. 피트펠릿을 그 위에 올려 두세요.
  3. 5-10분 정도 두면 피트펠릿이 아래에서 천천히 물을 흡수합니다.
  4. 손으로 살짝 눌러봤을 때 촉촉해졌다면 꺼내고, 남은 물은 반드시 버려 과습으로 인한 뿌리 썩음을 방지해주세요.

압축 배양토 M: 씨앗이 심긴 깊이만 젖도록 물주기
씨앗은 심긴 깊이만큼의 흙이 젖는 정도로 충분히 발아할 수 있습니다. 매번 흙 전체가 젖으면 마르는 데 시간이 오래 걸려 흙관리가 번거로울 수 있어요.
  1. 날씨가 더운 계절에는 겉흙이 쉽게 마르기 때문에 수분 관리에 더욱 신경 써야 합니다.
  2. 반음지 환경에서 겉흙이 마르지 않도록 수시로 씨앗이 심긴 깊이까지 흙이 촉촉해질 정도로 물을 주세요.

싹이 나온 후
가는 물줄기로 조심스럽게 물을 주거나 분무기를 사용해 부드럽게 수분을 공급해 주세요. 아직 잎이 어리고 줄기가 연약한 시기에는 강한 물줄기가 새싹을 눕히거나 손상시킬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스프레이형 분무기를 사용할 때는 잎에 직접 뿌리기보다는 흙 표면에 가볍게 분사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잎 위에 물이 고이면 병해가 발생할 수 있으니, 물이 오래 머물지 않도록 주의해 주세요.

어린 식물이 커지고 뿌리가 발달한 후
뿌리가 피트펠릿이나 생분해 화분 바깥까지 나올 무렵부터는 흙 전체의 수분을 고려해 물을 줘야합니다. 식물에 따라 건조한 것을 좋아하는 식물, 촉촉한 흙에서 잘 자라는 식물 등을 구분하여 물을 주세요. 
  • 건조한 것을 좋아하는 식물
    • 로즈메리, 라벤더, 타임, 야로우 등
    • 생분해 화분으로 분갈이한 이후에는 겉흙이 마르고, 흙이 살짝 가벼워졌을 때 물을 주세요. 과습으로 인해 뿌리가 무를 수 있으니 흙이 축축한 상태로 유지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 촉촉한 흙에서 잘 자라는 식물
    • 이탈리안 파슬리, 바질, 페퍼민트 등
    • 겉흙을 만졌을 때 약간의 수분감이 느껴지는 촉촉한 상태를 유지해주세요.
seedkeeper studio

서울 서대문구 연희로15 91-17, 101

월-금 14:00 - 19:00
02-6949-1334


문의 및 제안 iam@seedkeeper.kr

인스타그램 @seed_keeper


© seedkeeper. All rights reserved.

씨드키퍼 seedkeeper | 대표 송다혜, 문혜성 | 사업자등록번호 510-27-91908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2021-서울마포-0952 | 이용약관 terms개인정보처리방침 privacy


씨드키퍼 seedkeeper | 대표 송다혜, 문혜성 | 사업자등록번호 510-27-91908 | 통신판매업신고번호 2021-서울마포-0952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seedkeeper. All rights reserved.